iptime vpn과 ddns설정 방법에 대해서 적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정보공유 글인듯 자주 잊어버리는 제 머리를 위해
개인 백업용 포스팅이라고 보셔도 무방합니다.
그러나 제 머리가 나쁜만큼 상세한 설명이 함께 할 겁니다. ^0^
http://192.168.0.1 우선 좌측의 주소로 고고!!
iptime VPN설정
위 스샷을 좌측부터 보시면 편합니다.
우선 메뉴에서 고급설정 -> 특수기능 -> VPN 서버설정 누르시면
VPN 상세 설정 페이지가 우측에 열립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VPN 서비스를 사용할것이니 동작모드는 실행으로 체크
암호화는 없음으로 체크해 주신뒤 적용버튼을 클릭!
VPN접속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정하고 추가 버튼을 눌러주세요
할당 IP는 다른 기기와 접쳐지지 않도록 뒤쪽번호로 할당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저는 100
여기까지만 해도 VPN 사용하는데는 무리가 없습니다.
하지만!! DDNS는 필수라고 생각됩니다. 이유는..?
ip가 변경될 경우 대상의 ip를 알지 못하면 VPN 접속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DDNS를 설정해놓으면 IP가 변경되어도 접속 가능하다는 사실!
VPN 설정 하는곳 바로 밑에 DDNS 설정 메뉴 있습니다.
클릭하시면 위 스샷의 모습이 나오고 자신의 호스트 이름과 사용자 ID 그리고 패스워드 넣으시면 됩니다.
저는 iptime에서 등록과정을 통해 아이디를 하나 가지고 있습니다. 이걸로 등록!
만약 사용할 수 없다고 나온다면 펌웨어 버전이 낮은 겁니다.
최근 해커들이 몰래 남의 IPTIME에 VPN 및 DDNs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펌웨어를 업데이트해야 하며, 업데이트 하면 꼭 접속 아이디와 패스워드 설정해야합니다. ^^
자! 여기까지가 iptime vpn과 ddns설정 끝입니다.
하지만 혹시 모를 사태를 대비해서 외부에서도 위의 iptime 설정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해
포트번호를 설정해 주면 좋습니다.
좌측 메뉴에서 고급설정 -> 보안 기능 -> 공유기 접속 관리 메뉴를 누르신뒤
원격 관리 포트 사용에 체크 하시고 포트번호 설정하시면 됩니다.
저는 8080으로 해봤습니다. 이후 적용버튼 누르시구요 ^^
이후 자신의 PC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로 이동하신 뒤
새 연결 또는 네트워크 설정 누르시고 추가 하시면 됩니다.
접속 주소는 위와 같이 조금전에 설정했던 ddns 호스트 넣어주시면 됩니다.
당연히 아이디와 패스워드는 VPN에서 넣어줬던놈 넣어주시면 되구요
보안 설정에서 VPn 종류는 자동으로 해주시구요
데이터 암호화는 사용안함 혹은 선택적 암호화 사용으로 변경해 주신 뒤 확인누르시면 됩니다.
http://자신의 호스트명.iptime.org:포트번호
위의 주소로 접속할 경우 언제 어디서든 iptime 설정 사이트로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만약 뭔가 잘못되서 이상하거나 맥 주소 변경하고 싶을때 이렇게 접속하시면 됩니다.